한지의 멋
백의민족 한지
한지는 천년, 비단은 오백 년 동안 남아 있음을 실감케 하는 옛 말로 '지천년견오백'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예로부터 한지는 질기고 강한 특성이 있었는데 이는 순결하고 강인한 우리 민족의 정신을 담아놓았고 그래서 한지를 '백지'라고도 불렀다는데요 그야말로 '백의민족'을 떠올리게 합니다.
우리 선조들의 땀과 얼이 들어간 한지와 역사적으로 연관이 깊은 도시가 있는데요 바로 강원도 원주인데요 이곳에 둥지를 튼 '한지테마파크'는 한지의 역사를 다양한 자료들과 함께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종이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일까요?
아쉽게도 역사적으로 그 이유가 명확히 기록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고대에 이미 종이가 있었고, 중국에서 전해진 종이 만드는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그 명성을 오히려 중국에 전했다고 하는데요 그 증거로 610년경 고구려의 승려 담징이 승려 법정과 함께 일본에 건너가 채색, 종이, 먹, 맷돌 등을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고 하는 <일본서기>의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또한 불국사의 석가탑에서 다른 유물과 함께 나온 최고의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751년)>이 천년을 넘어 현존하고 있는데요 목판 인쇄물로 수요가 성장하고 이로 인해 종이 공급이 뒷받침되었습니다.
'한지' 라는 이름
한자의 원료는 닥나무입니다.
전통 방식 그대로 손으로 떠서 만드는 한지는 종이의 본고장인 중국에서도 그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았는데요 신라의 '백추지', 고려의 '만지', 조선의 '태장지'와 같이 시대마다 고유한 양질의 종이가 개발되었습니다.
무엇보다 한지는 천년이 넘도록 보존이 가능했는데 종이는 자연스럽고 유연하며 매끄러워서 글씨와 그림의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양반 생활 공예와 민속품 등 모든 생활에 사용할 수 있었으며 자투리 하나도 귀히 쓰였습니다.
그런데 왜 '한지'라는 이름이 붙은 것일까요?
그 이유에는 크게 네 가지 어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첫째는 양지의 반대 개념으로 서양의 것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둘째는 대한민국의 '한(韓)'자를 따서 지어졌습니다.
세번째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전통 종이는 겨울에 원료를 거둬들여 겨울철 찬물에 담가 좋은 질의 원료를 만들었다고해 찰 한(寒)자를 써서 '한지'라고 불렀습니다.
마지막으로 중국의 '화지'와 일본의 '화지'에 대응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한지의 변화
한지의 태동기는 삼국시대였습니다.
그 이전에는 이미 중국에서 종이 만드는 기술이 전래되었고 상당 기간 중국 종이를 모방해 제작하다가 이 시기 이후 독창적인 한지를 생산해냈습니다.
통일신라시대 종이 생산의 중심지는 경주지방입니다.
여기서 만들어진 종이의 대부분은 관청에서 필요한 종이를 충당했던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 시기의 대표적인 종이는 '백추지'로 국내외에 뛰어난 종이로 알려졌습니다.
고려의 종이는 누에고치의 솜으로 만들어 색의 희기가 능(綾)과 같고 단단하고 질기기가 비단과 같으며 여기에 글씨를 쓰며 먹빛이 아름답다
이것은 중국에는 없으니 또한 진기한 물건이다.
-중국 송나라 조희곡 <동천청록> -
고려시대는 우리 종이의 새로운 도약기였습니다.
고려인은 중국에서 도입된 새로운 기술을 더욱 발전시켰으며 그 결과 중국인이 제일 좋은 종이라 부르는 '고려지(만지)'를 만들었습니다.
고려의 종이는 송나라에서 누에고치로 만든 것이라고 잘못 전해질만큼 부드럽고 매끄러웠습니다.
특히, 고려지에 쓰인 글씨는 먹이 진하게 배어 아주 좋았고 색도 명주처럼 하옛다고 합니다.
고려는 958년 과거제도를 실시해 학문에 능통한 인재들을 뽑았는데 유교 경전과 문장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책에 대한 수요가 커졌습니다.
또한 고려는 불교 국가여서 불경에 대한 수요도 늘었으며 종이 공급도 늘어났는데 종이 생산이 활발해지면서 종이 가격도 내려갔습니다.
조선 전기는 종이 제작 기술의 완성기였는데요 15세기는 성리학이 대중에게 알려졌으며 국가적으로 간행물이 많아졌습니다.
정부 주도로 백성에게 닥나무 재배가 권장되었고 일본에서 들여온 닥나무로 품종 개량을 인한 재배 시험이 이뤄지기도 했습니다.
또 이 시기에는 종이 생산을 관리하는 기관이 설치되었고 종이도 대중화되기 시작했으며 덕분에 생산된 종이가 200여종이 넘었습니다.
우리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것은 조선에서는 아무리 가난한 집에라도 책이 있다
1866년 조선을 침략한 프랑스의 군인 앙리쥐베르의 말인데요 그는 조선의 우수한 종이 발달에 대해 이같이 말했습니다.
외규장각 의궤의 우수한 종이 질에 프랑스인들은 감탄했으며 세계 어디에도 뒤지지 않을 만큼 자부심을 갖는 종이를 우리는 이미 갖고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조선 후기부터는 점점 쇠퇴하기 시작했는데요 임진왜란과 연이은 환란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종이가 대량으로 수입되었고 해방과 6.25 전쟁 후에는 한지 생산 기반이 약화되는 반면 양지는 점차 대중지의 위치를 차지하게 됩니다.
글로벌 시대로 인해 서양 문화는 물밀듯 빠르게 들어왔으며 특히 인쇄기술 발달로 한지는 급속한 쇠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한지의 다른 이름 백지
한 장의 한지가 탄생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공정이 필요했습니다.
11월경 1년 된 닥나무를 베어내어 찌고 삶고 말리고 두들기고, 고르게 섞는 작업도 필요합니다.
도침을 아흔아홉번 손질을 거친 후 마지막 사람이 백 번째로 선별과정을 거쳐 한 장의 한지를 만듭니다.
그래서 옛날에는 한지를 '백지'라고도 했는데요 우리 선조들은 생활 속 공예품 제작에 한지를 사용했습니다.
작은 조각 하나도 버려지지 않은게 한지였다고 하는데요 예를들어 선비들이 오랫동안 보던 낡은 책을 재활용해서 '지승공예'를, 색지를 사용하고 남은 조각을 모아서 '색지공예'를 만들었으며 특히 한지의 색이 발할수록 더욱 색이 은은해져서 매력이 더욱 살아났습니다.
'지대넓얕 > 혜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들로 알아보는 MBTI유형, 나와 같은 유형의 연예인은 누구일까? (0) | 2022.05.20 |
---|---|
현대인의 마음돌보기 명상 어플리케이션 추천 (0) | 2022.05.13 |
세계문화유산 고인돌 최첨단 토목기술로 건설되다 (0) | 2021.01.01 |
잼민이 뜻과 유래 사용예시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0.10.09 |
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기법 넛지 마케팅 (0) | 2020.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