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정부의 출범과 도산 안창호 독립운동

    지대넓얕/혜윰 / / 2020. 3. 28. 03:19
    반응형

    임시정부와 망명정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임시정부는 새로 국가를 수립하거나 이전의 국가가 붕괴한 후 일정 기간 정치적 전환을 관리하기 위해 수립된 비상정부를 말합니다.

    그 종류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TIP
     
     

    임시정부의 구분
    첫째, 옛 정권이 무너지고 다른 세력이 권력을 차지한 혁명적 임시정부입니다.
    둘째, 권련 공유 임시정부로 이전 정권과 후속 권력을 나누어 갖는 경우입니다.
    셋째, 현(임) 임시정부로서 권련 교체기에 권력이 전 정권에 속하는 경우입니다.
    넷째, 국제임시정부로서 권련 전환기에 권력이 국제사회에 속하는 경우입니다.


    01 임시정부의 역사

    임시정부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되었습니다.

    1776년  미국 동부의 13개 주가 식민지 모국인 영국에 대해 독립선언을 하고 독립전쟁을 치르며 건국한 후 1789년 미국 의회가 구성되어 승계할 때까지 존속한 대륙의회도 미국의 임시정부였습니다.

    호주도 1901년 영국에서 독립한 후 영구 연방과의 관계를 설정할 때까지 관리 정부로 있었으며, 우리나라도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을 때 1919년 3.1 운동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세웠습니다.


    02 망명정부란?

    망명정부는 전쟁, 내전, 혁명 또는 군사 쿠데타 등으로 권력자 또는 권력집단이 다른 나라나 자기 영토 밖에 있으면서 언젠가는 본국 권력을 되찾고자 하는 권력집단입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독일 점령지 등에서 16개 정부들이 영국 런던에서 둥지를 틀고 있었는데, 대게 망명정부는 침략, 지배 정부의 불법성에 대한 광범한 믿음으로 지탱되고 있습니다.

    우리도 독립운동 기간에 고종이 국외로 탈출하여 정부를 세웠다면 망명정부가 되었을 것입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및 임시의정원 신년축하식 기념촬영(1921. 1. 1)

     


    03 황제가 포기한 주권은 어디로 가는가

    한국의 근대사를 살펴보면 일본 제국주의로부터의 자유와 독립의 쟁취라는 과제와 근대적인 국민주권의 민주공화정 수립이라는 이중과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1898년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의 의회 설립운동 때 그 운동이 공화주의 운동이라고 모함을 받고, 탄압받기도 했으나 공화주의를 표방하지 않았고 할 수도 없었으며, 황제가 살아 있는 권력으로서 존재했고, 왕과 백성에게 공동의 적인 일본이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후 1905년 소위 을사조약이 강요되어 대한 제국은 외교권을 빼앗기고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습니다.

     

    5개월 뒤인 1906년 4월 18일 새벽 샌프란시스코에서 대지진이 일어났는데, 약 3000명이 사망하고 22만 5000명의 이재민이 생긴 큰 피해였습니다.

    다행히 한국인의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불과 2주 전 발족한 공립협회 건물이 파괴되었습니다.

    우선 임시로 공립협회와 공립 신보 사무실, 한인 40여 명 거처를 오클랜드로 옮겼습니다.

    이 공립협회는 1903년 9월 안창호, 박선겸, 이대위, 김성무 등이 상호 친목을 목적으로 결성한 상항 친목회로 출발한 단체였습니다.

    하와이로 이민했던 노동자 중 일부가 미국 본토로 이주해 옴에 따라 회원이 늘어나자 친목회를 확대 개편하여 공립협회를 창립했습니다.

    서로 도와 함께 일어선다는 이름이었으며 기관지 <공립 신보>도 발간하였고, 나라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주권재민 사상과 권력은 입법, 행정, 사법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권력분립 등 공화제 등을 소개했습니다.

     

    6개월 전인 1905년 11월 17일 조국에서는 일본에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당하여 외교권을 빼앗기고 통감이 실질적으로 한국을 통치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한 때 대지진이 나자 샌프란시스코 주재 일본 영사관은 일본 통감부에 "지진으로 한인 24명이 사망하고 부상자가 80명"이라는 허위보고를 하였으며 통감부는 이 보고를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1900달러를 받아 샌프란시스코 일본영사관으로 보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본이 한국 정부를 대신하여 해외 한인들을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선전하면서, 해외 한인들도 보호조약을 인정하게 만들려는 계략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공립협회는 전체 회의를 열게 되었습니다.

    전체 의사로 일본 영사관을 통해 오는 돈을 받지 않기로 결의했고 미주 동포들은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빼앗기기 전에 미국으로 이민을 왔기 때문에 일본이 빼앗은 외교권의 적용대상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고 일본의 간섭을 거부했습니다.

     

    1907년 1월 도산은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위한 원대한 계획을 갖고 국내로 들어와 신민회 운동을 시작하게 됩니다.

    새로운 단체에 의한 새로운 국민을 준비시킨다고 표방하고 평양에 대성학교를 세워 교육 혁신모델을 세우고, 전국에 신지식과 애국사상을 교육하는 학교 설립운동을 벌였으며, 태극서관.마산동 자기 회사 등 민족기업을 일으켰습니다.

    도산은 미국에서 민주주의 나라를 체험하게 됩니다.

    공화제를 포함한 문명적 가치,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히는 실질적인 교육과 개개인의 경제적 자립, 국가와 사회 공동체를 위해 납세 등의 개인의 의무를 철저히 가르치고 새로운 공화국을 만드는 밑 작업을 하였던 것입니다.

     

    1905년 을사조약 후 미주동포 사회에는 "황제가 잃은 주권이 국민이게 있다"는 국민 주권론이 본격 대두되기 시작합니다.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하자 "구한국 멸망은 곧 신한국 시작"으로 받아들이며 임시정부 건설론이 본격 제기되었습니다.

     

    박용만은 무형 국가론(1911)을 제기했고 , 미주 한인들은 공립협회와 하와이 합성협회 등을 통합해 해외 한인 최고 기관이자 임시정부 격인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를 결성하게 됩니다.(1912.11)

    대한인국민회는 만주와 시베리아, 미주 및 하와이에 지방총회, 멕시코 등지에 지방회를 두고 한민족 글로벌 네트워크를 결성해 동포를 보호하며 독립운동을 조직화했습니다.

     

    시베리아 지방 총회 사진


    04 임시정부의 출범과 통합과정

    1919년 4월 10일 밤 10시 상하이 프랑스 조계 김신부로에 위치한 2층 양옥에 독립운동가 29인이 모입니다. 다음날 아침 10시까지 12시간 장시간 회의에서 회의의 이름은 임시의정원으로, 나라 이름은 대한민국으로 정했습니다.

    국무총리와 각료를 임명해 임시정부를 출범시키며 중화민국 임시정부의 예를 참고하여 최초의 헌법인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 공포하게 됩니다.

    '임시헌장'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제1조)"라 선포하며, 모든 국민은 계급, 신분, 남녀의 성별, 교육 정도에 따라 차별받지 않는다는 평등권 등 국민의 권리와 교육, 근로, 국방 등 국민의 의무에 대한 규정이 포함된 10개 조의 건국 정신과 국가의 기본 원칙을 천명했습니다.

     

    도산 안창호는 그해 6월 28일 상하이에 도착합니다.

    그는 미주 한인들이 모금한 돈으로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아름다운 2층 건물을 얻어 임시정부 청사로 삼았으며 안창호와 임시의정원 2대 의장인 손정도 목사의 노력으로 9월 17일 연해주 대한 국민의회와 한성정부가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합하는 과정이 있게 됩니다.

    상하이에 해이 독립운동 세력들을 대표하는 통합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성립된 것입니다.

     

    그 후 광복의 그날까지 27년간 우여곡절, 분열과 후퇴가 없지는 않았으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계속해서 유지되었습니다.

    일본이 1931년 민주 침략, 1937년 중국 내륙 침략을 강행하자 김원봉의 조선혁명군 좌파 세력이 임시정부에 통합되어 들어오는 등 좌우를 아우르는 진민족 독립운동의 최고기관의 위상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